미국 로스쿨 졸업 후 진로

아래 글은 제 네이버 블로그 유학, 유학에서 이민까지 (미국)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에 2016에 작성한 글을 그대로 옮겨왔습니다.

미국에서는 2010년 이후로 로스쿨(JD 학위)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입니다.

2008년 리만브라더스 사태의 여파로, 미국 법률 시장에서 한국 대기업 정도의 아성을 가진 대형 로펌이 파산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고, 당시 대부분의 로스쿨 졸업생이 변변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졸업생이 모교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청구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로스쿨 내부에서도 졸업생의 숫자가 시장의 수요에 비해 과다하다는 현실을 받아들여 많은 학교들이 정원을 줄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전반적인 경제 회복과 맞물려서 2014년 이후로는 어느 정도 법률시장도 회복세 입니다. 물론 2010년 이후 다년간 누적된 졸업생이 계속 기회를 엿보고 있고, 법률 시장의 침체로 인해 로스쿨 지원자의 수와 입학생의 평균적인 질이 많이 떨어진 탓에 2008년 발 경제 위기 전과는 많이 다르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2013년부터 15년까지 제가 직접 한국에서 근무하며 느낀 바에 따르면, 한국으로 유입되는 미국 변호사의 수가 줄어들면서 적어도 한국 내에서 미국변호사의 입지는 좋아지고 있습니다.

로스쿨은 외국인에 대하여 매우 관용적인 반면, 변호사 업계는 다소 보수적 입니다.

우선 미국에서는 변호사가 되기 위하여 미국 내 거주나 체류 신분이 요구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로스쿨 입학에도 외국인이라는 점이 불리하게 작용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외국학생이 차별성을 내세워 좋은 결과를 얻는 경우도 많습니다. 반면에 취업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현지인의 취업 기회를 박탈하는 일이 없도록 국가적으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한국계 미국인이 로스쿨에 진학하는 경우도 많다 보니, 한국어 구사 능력을 필요로 하는 포지션도 현지인에게 돌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의 침체나 업계 분위기는 개인의 역량이나 노력에 따라서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미국 법조계에서 부동의 위치를 확보하고 있는 극소수의 최고 명문 로스쿨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인재라면, 로펌 입장에서는 외국인 고용 규제나 현지인 취업률에 대한 걱정은 일단 제쳐 두고 탐낼 수 있습니다. 물론 로스쿨 재학 중 인턴쉽(유학비자로 가능함)이나 클럭쉽을 통해 경험을 확보해 두는건 기본이고, 네트워킹을 통해 자신의 입지를 다져 놓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미국에서 JD를 취득 후 첫번째 갈림길은 “미국에 남느냐 한국으로 돌아가느냐” 입니다.

물론 한국 기업도 현지에서 업무 경력이 있는 해외 변호사를 선호하지만, 미국 내에서 일자리를 잡게되면 한국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하는 경우가 매우 적습니다. 때문에 월등한 영어실력과 미국 변호사 자격만으로도 한국 구직시장에서는 상당히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한국에서도 대형 로펌은 남다른 이력이 없이는 진입이 어렵고, 대기업 등에서는 출신 학교를 따지는 편입니다. 하지만 특히 기업 법무에 있어서는 뛰어난 영어 구사능력을 높이 평가합니다.

미국에 남는 길은 로펌 취업 한가지가 아닙니다. 미국 로스쿨에 진학하는 많은 학생(국적을 불문하고)들이 대형 로펌을 꿈 꿉니다. 평균 1억원을 상회하는 평균 초봉과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주어지는 기회를 생각하면 당연히 매력적인 진로입니다. 하지만 많은 외국계 변호사들이 미국 내의 이민자를 대상으로 개업하거나 이민자 커뮤니티를 타겟으로 하는 중소 규모의 로펌이나 변호사 사무실에 취업합니다. 다만, 안타깝게도 외국인은 큰 자본 없이는 개업을 통해 체류 신분을 확보하기 어렵고, 작은 로펌일 수록 그 업무분야가 이민법이나 교통상해, 부동산법, 가정법, 형법 등으로 다소 제한되기 마련입니다.


Comments

“미국 로스쿨 졸업 후 진로”에 대한 3개의 응답

  1. 최하림 아바타

    감사합니다.

  2. 변호사가 되고 싶다 아바타
    변호사가 되고 싶다

    안녕하세요. 저는 미국에서 MBA를 하고, 미국에서 평범한 회사에 다니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변호사라는 직업에 대해서 막연한 동경심을 가지고 있는데요.
    한국에서 법학 학사 학위를 가지고 있으면 온라인 LLM을 하면 워싱턴 DC 변호사시험을 치를수 있다고 광고를 많이 하는데요.
    이렇게 변호사가 되어서 결국 개인 사무실을 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40대가 되니, 집안의 가장으로서 압박이 심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어, JD 풀타임은 어려운 상황입니다 ㅠ

    1. Youngsik Jeon, Esq. 아바타
      Youngsik Jeon, Esq.

      DC 자격을 취득하면 DC에서 개업을 하셔야 하고, 당연히 의뢰인도 DC 거주자에 한정됩니다. 변호사업 중에서도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으신지, 해당 분야에서 도움이 필요한 잠재 고객이 해당 지역에 얼마나 있는지 등, 개업 후의 전망에 대해 고민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 Likelihood of Confusion 거절 사유 극복하기

    미국 상표 출원 시, 가장 극복하기 어려운 거절사유가 바로 likelihood of confusion (LOC) 입니다. 번역하자면 혼동가능성, 즉 다른 출원/등록 상표와의 혼동 가능성 인데, 통상 LOC 거절에는 등록하려고 하는 상표와 유사한 기존 상표의 출원번호/등록번호가 인용됩니다. 출원번호만 인용된 경우 우선권(일반적으로 출원일이 더 빠른 출원이 우선함)을 가진 유사한 출원의 심사가 진행 중이라면 Notice of Suspension (심사중단통지)이 발행되고, 기존…

  • 네? 저희 집에 에어비앤비 예약 하셨다구요?

    안녕하세요. 미국 변호사 전영식입니다. 에어비앤비로 집을 대여한 후 밤새 파티를 즐긴다거나, 집 한채를 방 별로 렌트해 북적되는 차량과 사람으로 피해를 주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하죠. 헌데 최근에는 에어비앤비 예약을 한 낯선 사람들이 자기 집을 방문했다는 황당한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예약 후 찾아온 사람들은 당장 머무를 곳이 없어 당황스럽고, 집주인 입장에서는 황당할 뿐 아니라 사생활 침해나…

  • 상표 의뢰

  • 미국상표 등록 – 거주지 (Domicile Address)

    거주지 주소(Domicile Address)는 단순히 연락처가 아닌 출원요건(미국 거주자 or 미국 변호사 선임)의 하나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Mailing Address vs. Domicile Address 개인의 거주지 혹은 회사의 본거지가 연락처(mailing address)와 동일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연락처는 우편물을 받아 볼 수 있는 주소라면 사서함을 포함 어떤 주소이든 사용 가능한 반면에, 거주지 주소는 반드시 사람이 실제 살거나 (회사의 경우) 사무실을 운영하는…

  • 아마존 셀러 체크리스트 (한국생산 미국판매)

    아마존의 FBA 를 비롯한 각종 물류/배송 위탁 서비스 덕분에 개인이나 작은 업체도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시장에 접근하기 쉬워졌습니다. 최근 K-POP 열풍에 힘 입어 한국에서 제조/생산한 제품을 해외에서 판매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서, 이를 중심으로 아마존 셀러 시작하기 전 꼭 검토해야 할 5가지 이슈 짚어봅니다. 1. 해외에서 판매가 가능한 제품인지 확인 요즘은 위탁생산 방식의 발전으로 소규모로 자체…

  • Money Back Guarantee

    등록이 안되면? 변호사 비용 100% 환불 등록까지 총 $800 (국제분류 당, 관납료 제외한 비용) 타 펌의 유사 서비스와 비교: 환불 보장 없이 $1,350 100% 등록이 안되면 환불 Guaranteed USPTO 출원 요건 만족 Unlimited 전화 혹은 이메일 상담 Limited 미국 내 영업 중인 경우에만 이용 관납료는 환급 불가 FAQs

  • HIF 상표 출원 서비스 의뢰서

  • Have It Filed

    최저가로 등록까지! 변호사가 출원 서류 작성 출원 대리 비용 $275 (국제분류 당, 관납료 제외한 비용) 타 펌의 유사 서비스와 비교: $700 100% 미국 변호사가 직접 진행 Guaranteed USPTO 출원 요건 만족 Unlimited 전화 혹은 이메일 업데이트 상표에 대한 검토 없이 진행 사업계획에 대한 검토 없이 진행 FAQs

  • No Commitment

    약정 부담 없이 단계 별로 나누어 비용 결제 등록까지 총 $750 (국제분류 당, 관납료 제외한 비용) 타 펌의 유사 서비스와 비교: $2,500 100% 미국 변호사가 직접 진행 Guaranteed USPTO 출원 요건 만족 20 minute 전화 혹은 이메일 상담 Limited 등록할 상표 확정에 최대 2주까지 FAQs

  • 상표, 등록만 안되어 있으면 써도 괜찮다?

    많은 분들이 하시는 실수입니다. 어디선가 본 상표, 있을 법한 상표이지만 미국 상표 등록부만 검색해 보고, 아직 등록이 안되어 있으니 내가 먼저 등록하면 되겠다는 생각으로 상표출원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로 상표 심사관들은 미국 상표 등록부를 기준으로 심사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등록이 안된 상표는 심사 시 고려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심사에 고려 안된 상표가 법적으로는 우선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