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티즈 플러스

  • 상표 국제 분류 (NICE 11-2018)

    상표 국제 분류 (NICE 11-2018)

    제1류

                   공업용, 과학용, 사진용, 농업용, 원예용 및 임업용 화학제; 미가공 인조수지, 미가공 플라스틱; 비료; 소화용(消火用) 조성물; 조질제(調質劑) 및 땜납용 조제; 식품보존제; 무두질제; 공업용 접착제

    제2류

                   페인트, 니스, 래커; 녹 방지제 및 목재 보존제; 착색제; 매염제(媒染劑); 미가공 천연수지; 도장용, 장식용, 인쇄용 및 미술용 금속박(箔)과 금속분(粉)

    제3류

                   표백제 및 기타 세탁용 제제; 세정, 광택 및 연마재; 비의료용 비누; 향료, 에센셜 오일, 비의료용 화장품, 비의료용 헤어로션; 비의료용 치약

    제4류

                   공업용 오일 및 그리스(Grease); 윤활제; 먼지흡수제, 먼지습윤제 및 먼지흡착제; 연료(자동차용 연료포함), 발광체; 조명용 양초 및 심지

    제5류

                   약제, 의료용 및 수의과용 제제; 의료용 위생제; 의료용 또는 수의과용 식이요법 식품 및 제제, 영아용 식품; 인체용 또는 동물용 식이보충제; 플레스터, 외상치료용 재료; 치과용 충전재료, 치과용 왁스; 소독제; 해충구제제(驅除劑); 살균제, 제초제

    제6류

                   일반금속 및 그 합금, 광석; 금속제 건축 및 구축용 재료; 금속제 이동식 건축물; 비전기용 일반금속제 케이블 및 와이어; 소형금속제품; 저장 또는 운반용 금속제 용기; 금고

    제7류

                   기계 및 공작기계; 모터 및 엔진(육상차량용은 제외); 기계 커플링 및 전동장치 부품(육상차량용은 제외); 비수동식 농기구; 부란기(孵卵器); 자동판매기

    제8류

                   수공구 및 수동기구; 커틀러리; 휴대용 무기; 면도기

    제9류

                   과학, 항해, 측량, 사진, 영화, 광학, 계량, 측정, 신호, 검사(감시), 구명 및 교육용 기기; 전기의 전도, 전환, 변형, 축적, 조절 또는 통제를 위한 기기; 음향 또는 영상의 기록, 전송 또는 재생용 장치; 자기(磁氣)데이터 매체,녹음디스크; CD, DVD 기타 디지털 기록매체; 동전작동식 기계장치; 금전등록기, 계산기, 데이터 처리장치, 컴퓨터; 컴퓨터 소프트웨어, 소화기기

    제10류

                   외과용, 내과용, 치과용 및 수의과용 기계기구; 의지(義肢), 의안(義眼), 의치(義齒); 정형외과용품; 봉합용 재료; 장애인용 치료 및 재활보조장치; 안마기; 유아수유용 기기 및 용품; 성활동용 기기 및 용품

    제11류

                   조명용, 가열용, 증기발생용, 조리용, 냉각용, 건조용, 환기용, 급수용 및 위생용 장치

    제12류

                   수송기계기구; 육상, 항공 또는 해상을 통해 이동하는 수송수단

    제13류

                   화기(火器); 탄약 및 발사체; 폭약; 폭죽

    제14류

                   귀금속 및 그 합금; 보석, 귀석 및 반귀석; 시계용구

    제15류

                   악기

    제16류

                   종이 및 판지; 인쇄물; 제본재료; 사진; 문방구 및 사무용품(가구는 제외); 문방구용 또는 가정용 접착제; 미술용 및 제도용 재료; 회화용 솔; 교재; 포장용 플라스틱제 시트, 필름 및 가방; 인쇄활자, 프린팅블록

    제17류

                   미가공 및 반가공 고무, 구타페르카, 고무액(gum), 석면, 운모(雲母) 및 이들의 제품; 제조용 압출성형형태의 플라스틱 및 수지; 충전용, 마개용 및 절연용 재료; 비금속제 신축관, 튜브 및 호스

    제18류

                   가죽 및 모조가죽; 수피; 수하물가방 및 운반용 가방; 우산 및 파라솔; 걷기용 지팡이; 채찍 및 마구(馬具); 동물용 목걸이, 가죽끈 및 의류

    제19류

                   비금속제 건축재료; 건축용 비금속제 경질관(硬質管); 아스팔트, 피치 및 역청; 비금속제 이동식 건축물; 비금속제 기념물

    제20류

                   가구, 거울, 액자; 보관 또는 운송용 비금속제 컨테이너; 미가공 또는 반가공 뼈, 뿔, 고래수염 또는 나전(螺鈿); 패각; 해포석(海泡石); 호박(琥珀)(원석)

    제21류

                   가정용 또는 주방용 기구 및 용기; 빗 및 스펀지; 솔(페인트 솔은 제외); 솔 제조용 재료; 청소용구; 비건축용 미가공 또는 반가공 유리; 유리제품, 도자기제품 및 토기제품

    제22류

                   로프 및 노끈; 망(網); 텐트 및 타폴린; 직물제 또는 합성재료제 차양; 돛; 하역물운반용 및 보관용 포대; 충전재료(종이/판지/고무 또는 플라스틱제는 제외); 직물용 미가공 섬유 및 그 대용품

    제23류

                   직물용 실(絲)

    제24류

                   직물 및 직물대용품; 가정용 린넨; 직물 또는 플라스틱제 커튼

    제25류

                   의류, 신발, 모자

    제26류

                   레이스 및 자수포, 리본 및 장식용 끈; 단추, 갈고리 단추(Hooks and eyes), 핀 및 바늘; 조화(造花); 머리장식품; 가발

    제27류

                   카펫, 융단, 매트, 리놀륨 및 기타 바닥깔개용 재료; 비직물제 벽걸이

    제28류

                   오락용구, 장난감; 비디오게임장치; 체조 및 스포츠용품; 크리스마스트리용 장식품

    제29류

                  식육, 생선, 가금 및 엽조수; 고기진액; 가공처리, 냉동, 건조 및 조리된 과일 및 채소; 젤리, 잼, 설탕에 절인 과실; 달걀; 우유 및 그 밖의 유제품; 식용 유지(油脂)

    제30류

                   커피, 차(茶), 코코아와 대용커피; 쌀; 타피오카와 사고(Sago); 곡분 및 곡물조제품; 빵, 페이스트리 및 과자; 식용 얼음; 설탕, 꿀, 당밀(糖蜜); 식품용 이스트, 베이킹파우더; 소금; 겨자(향신료); 식초, 소스(조미료); 향신료; 얼음

    제31류

                   미가공 농업, 수산양식, 원예 및 임업 생산물; 미가공 또는 반가공 곡물 및 종자; 신선한 과실 및 채소, 신선한 허브; 살이있는 식물 및 꽃; 구근(球根), 모종 및 재배용 곡물종자; 살아있는 동물; 동물용 사료 및 음료; 맥아

    제32류

                   맥주; 광천수, 탄산수 및 기타 무주정(無酒精)음료; 과실음료 및 과실주스; 음료용 시럽 및 음료수 제조제

    제33류

                   알코올 음료(맥주는 제외)

    제34류

                   담배; 흡연용구; 성냥

     제35류

                   광고업; 사업관리업; 기업경영업; 사무처리업

    제36류

                   보험업; 재무업; 금융업; 부동산업

    제37류

                   건축물건설업; 수선업; 설치서비스업

    제38류

                   통신업

    제39류

                   운송업; 상품의 포장 및 보관업; 여행알선업

    제40류

                   재료처리업

    제41류

                   교육업; 훈련제공업; 연예오락업; 스포츠 및 문화활동업

    제42류

                   과학적, 기술적 서비스업 및 관련 연구, 디자인업; 산업분석 및 연구 서비스업;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디자인 및 개발업

    제43류

                   음식료품을 제공하는 서비스업; 임시숙박업

    제44류

                   의료업; 수의업; 인간 또는 동물을 위한 위생 및 미용업; 농업, 원예 및 임업 서비스업

    제45류

                   법무서비스업; 유형의 재산 및 개인을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안서비스업; 개인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타인에 의해 제공되는 사적인 또는 사회적인 서비스업

  • (OLD) TEAS 화면 6: 서명

    (OLD) TEAS 화면 6: 서명

    2025년부터 USPTO의 새로운 전자출원시스템인 Trademark Center 의 사용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미특허청 상표 출원 TEAS Plus 의 6번째 화면입니다.

    세가지 서명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실 수 있는데요. 현재 온라인 양식을 작성하고 계신 분이 상표권자가 되실 분 즉 출원인을 대행할 권한이 있으시면 직접 sign directly 를 통해 화면의 하단에 서명하시면 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상표권자 본인이나 그 외 권한이 있는 분에게 email 을 보내거나 같은 내용을 종이에 출력 후 서명 받을 수 있습니다.

    체크박스는 일단 전부 동의하시지 않으면 진행이 안됩니다. 주요 내용은 허위 사실을 기재할 경우 법적 처벌을 받는다는 내용이죠.

    서명은 미특허청에서 말하는 S-signature 형태로 하시면 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young jeon/ 와 같이 이름과 성을 “/” (슬래쉬, 키보드의 마침표 오른쪽에 있는 기호입니다) 안에 가두어서 기재하시면 됩니다. 그 옆의 날짜란은 클릭하시면 자동으로 오늘의 날짜로 바뀌구요.

    다음으로 서명하시는 분의 이름과 position 을 적으시면 되는데, 아무래도 회사에서 상표를 등록하는 경우가 많으니 Signatory’s Position은 직책이 되겠죠. 상표권자가 개인이고 직접 등록하시는 경우에는 Owner라고 적으셔도 되고, 만약 두명 이상의 개인/법인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상표의 경우에는 먼저 한분이 기입하시고, 다음분은 add signatory 버튼을 사용하셔서 추가 기재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전화번호는 의무기재 사항은 아니니 비워두셔도 무방합니다.

    이 다음은 Continue가 아닌 Validate 누르시고, 마지막으로 확인 및 결재하시면 됩니다. 결재 절차는 별도의 포스팅을 하지 않으려 합니다.

  • (OLD) TEAS 화면 5: 연락처

    (OLD) TEAS 화면 5: 연락처

    2025년부터 USPTO의 새로운 전자출원시스템인 Trademark Center 의 사용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심사 및 등록을 위한 연락처를 확인합니다.

    미특허청으로부터 출원/심사/등록 을 위한 서신을 받고자 하는 주소가 이미 기입하신 출원인 정보와 다르지 않다면 그대로 입력하시면 되고, 아니라면 이 화면에서 다른 우편주소를 지정하셔도 됩니다.

    다만,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체크박스를 확인하면 미특허청에서는 따로 종이로 된 서신을 보내지 않고, 이메일로 모든 공지를 발송하게 됩니다. 이 경우에도, 등록이 종료된 후, 등록증은 우편으로 발송이 되므로 그 부분은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OLD) TEAS 화면 4: 상표의 분류

    (OLD) TEAS 화면 4: 상표의 분류

    2025년부터 USPTO의 새로운 전자출원시스템인 Trademark Center의 사용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TEAS Plus 의 4번째 페이지에서는 특허청의 분류 시스템에 맞게 상표를 기술하셔야 합니다.

    상표 등록이 처음이신 분에게는 약간 생소할 수 있지만, 굳이 말하자면 순전히 행정적인 절차이며 큰 법률적 지식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크게는 (1) 해당하는 상품/서비스를 선택하고, (2) 각각의 분류에 대해 상표 출원 방식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Goods vs Services

    먼저 를 눌러서 상품/서비스 분류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우선 상품 (goods) 과 서비스 (services) 의 차이를 아셔야 겠죠. 상표를 어디다가 사용하실지를 생각하셔야 하는데요.

    만약 음식점의 이름으로 사용할 예정이시라면 (물론 음식이라는 상품을 팔기는 하지만) 포괄적으로는 음식을 먹고 즐길 수 있는 장소와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보아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리테일도 여러가지 상품을 파는 서비스입니다.

    반대로 리테일에 “글래디에이터 샴푸”를 공급하는 도매상 “글래디에이터”이라면 생각해볼 여지가 있습니다. 여기서 글래디에이터는 분명히 상품에 대한 상표이지만, 소매상의 입장에서는 글래디에이터는 상품을 공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입니다.

    물론 하나의 상표에 대하여 상품과 서비스 모두를 선택하여 등록하실 수 있지만, 이 경우 등록비용이 2배가 됩니다.

    이유는 미특허청의 분류시스템에 가장 상위에는 International Class (국제 분류) 라고 불리우는 세자리 숫자로 된 분류번호가 있는데 상품과 서비스는 이 국제 분류가 항상 다르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같은 의료 분야지만 의료기기는 010 으로 의료서비스는 044 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미특허청에서는 상표 등록 비용을 국제분류 하나당 가격으로 정해두고 있기 때문에, 국제분류가 하나씩 들어날 때 마다 출원 비용이 추가됩니다.

    따라서, 불필요한 국제 분류(Class)를 추가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상품/서비스 검색하기

    버튼을 누르면 검색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하신 후 결과 중 하나 혹은 복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사실 TEAS Plus 가 다른 TEAS RF 및 TEAS 보다 수수료가 저렴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보통 TEAS 에서는 자신의 Description 제출 후 심사관의 의견을 받을 수 있는데요. 만약 자신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해당하는 세부 분류 (Description) 가 없지만 TEAS PLUS 를 포기하고 싶지 않으시다면, 그나마 가장 적절한 분류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는 Clinic 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미국에서는 doctor’s office 와 함께 가장 쉽게 찾아 갈 수 있는 의료시설을 지칭하는 말이죠. 여기서 044는 위에서 언급한 국제분류이고, 가장 우측의 TM5는 그와는 별개의 또 다른 분류체계 입니다. 여기서 보면 첫번째 Medical clinic services 는 TM5 에 Y (yes) 라고 표기된 반면, 두번째 Medical clinic day care services for sick children 은 N (no) 라고 되어 있죠.

    사실 위의 검색 결과는 모두 미특허청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세부 분류이기 때문에 무엇이든 사용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TM5라는 것은 유럽과 일본, 중국, 그리고 한국까지 합해 총 5개 국가의 상표 분류체계를 상호 호환되도록 만든 또 하나의 분류체계로써, 여기서 Y 로 표기되어 있으면 같은 세부 분류가 5개국의 상표등록 기구에 모두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위 5개 국가 중 하나에 추가로 상표 등록을 계획하신다면 당연히 TM5에 Y로 표기된 것을 선택하셔야겠지만, 저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TM5 분류에 해당하는 세부분류를 선택하는 편입니다.

    간혹 세부분류를 선택하다가 보면, 조금 포괄적인 것과 세부적인 것을 놓고 갈등하게 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수 많은 모자에 대한 세부분류가 존재합니다.

    자, 만약 털모자에 부착할 상표를 등록한다면 Hats 와 Fur hats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간단히 말하자면, 상표의 사용처를 가장 적절히 설명하는 분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만약 모피를 취급하는 회사에서 만든 모자라면 향후에도 모피가 아닌 모자를 판매할 가능성이 없으니 fur hats 를 선택하시는게 맞겠죠.

    하지만 모자 전문 회사이고, 이번에 나온 털모자에 부착한 상표를 등록한다고 합시다. 그렇다면 해당 상표가 향후 다른 품목에도 적용이 가능할지 생각하셔야겠죠. 만약 털모자에만 특화하실 생각이라면 fur hats 라고 하시면 되겠지만, 아무래도 브랜드가 인기가 좋아지면 다른 모자에도 적용할 가능성이 높겠죠. 따라서, hats 가 조금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상품/서비스 분류를 선택하셨다면, 다음으로 그 분류에 맞는 출원근거(Filing Basis)를 지정하셔야 합니다.

    선택한 상품/서비스 분류마다 왼쪽에 체크박스가 있는데요. 지금 아래에는 두가지 분류에 모두 선택되어 있는데요. 출원근거는 국제분류 당 하나씩 지정하셔야 하므로, 아래의 예시에서는 아래의 Section 1(a) 등의 버튼을 눌러도 다음 단계로 진행이 안되실 겁니다.


    하나의 국제분류에 해당하는 상품/서비스 세부분류를 여러가지 선택하셨다면 해당하는 세부분류 전부를 체크하시고 아래의 네가지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네가지 버튼은 Section 1(a), Section 1(b), Section 44(d), and Section 44(e) 의 출원근거를 의미하는데요. 여기서 1(a)는 이미 사용 중인 상표에, 1(b)는 사용 예정인 상표, 44(d)는 미국 외 타지에서 이미 등록이 진행 중인 상표, 44(e)는 미국 외에 이미 등록된 상표에 해당합니다.

    Section 1(a)

    위와 같이 1(a)를 선택하시면 상표가 적용된 상품의 사례(사진 혹은 스크린샷)를 첨부하게 되어 있습니다.

    상품에 상표가 표기되어 있다면 상품 사진을 제출하면 되고, 상품이 아닌 서비스라면 서비스 리스팅, 광고, 웹사이트 등의 사례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하실 점은 상기 사례는 상표의 실제 사용 사실 뿐 아니라 상표가 등록하고자 하는 상표 이미지/문구 와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가 되기 때문에 (1) 상표와 상품/서비스간의 연계가 명확하고, (2) 상표가 정확하게 식별되어야 합니다.

    그외 Description 은 심사관에게 사례(사진)가 무엇을 보여주고 있는지 설명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A photographic image of a hat with an embroidered applied-for mark 정도가 되겠죠.

    최초 사용일은 두 날짜로 구분합니다. 첫번째는 anywhere 두번째는 in Commerce 인데요. Anywhere 은 말그대로 아무데서나 최초로 사용한 날짜를 기입하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인보이스 등으로 증명 가능한 날짜를 적어주시는 게 좋겠구요. In commerce는 미국법에서 말하는 interstate commerce, 즉 미국 여러 주 사이의 거래를 의미합니다. 상품 혹은 서비스가 주 경계를 넘어가는 날짜가 되는데, 수입/수출품의 경우에는 미국으로의 수입이 이루어진 시점을 기입하시면 됩니다.

    만약 사용 예정인 상표라면 위와 같이 1(b)를 선택하시고, I understand that … 의 체크박스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Section 1(b)

    사용 예정인 상표는 심사는 똑같이 진행되지만 심사 후 바로 등록되지 않고, 향후 실제로 사용이 이루어지면 그때 1(a)와 똑같이 사용 사례를 제출하는 절차를 거쳐 등록이 이루어집니다. 이 때, 추가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현재 사용 중이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면 미루시지 마시고, 실제 사용 후 등록하시는 편이 좋겠죠.

    해외에서 이미 출원/등록을 하신 상표의 경우 44(d)나 44(e)를 선택하시고 해당하는 출원/등록 정보를 기입하시면 되겠습니다.

    하나의 출원근거에 대한 작성이 완료되시면 아래의 Assign Filing Basis 버튼을 눌러 출원근거를 지정하신 후, 계속하여 만약 국제분류가 복수이면 각각의 출원근거를 지정하시면 되고, 그 외에도 혹 하나의 국제분류에 해당하는 복수의 세부분류를 선택하셨다면 각각의 출원근거를 다르게 지정하실 수 있습니다. (굳이 다르게 하실 필요는 없지만 심사 진행은 이편이 오히려 수월할 수 있습니다). 모든 세부분류에 출원근거가 지정된 후에는 Continue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 (OLD) TEAS 화면 3: 상표 관련

    (OLD) TEAS 화면 3: 상표 관련

    2025년부터 USPTO의 새로운 전자출원시스템인 Trademark Center의 사용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미국 상표 전자출원 (TEAS Plus) 의 세번째 페이지는 드디어 상표 관련 정보입니다.

    이번 화면에서는 아래의 Mark type 를 구분하셔서 선택하셔야 합니다.

    Standard Characters

    쉽게 말해 숫자나 기호를 포함한 영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국문으로 “자유지대”가 상표일 경우 세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Zahyoo-Zeedae 처럼 영자로 표기하고 Standard Characters 로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이미 활성화 된 빈칸에 해당 영자 표기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Free Zone 처럼 영어로 번역하여 등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Free Zone 을 빈칸에 입력하면 되겠죠. 참고로, 이미 Free Zone 이라는 상표가 사용 중이라면 Zahyoo-Zeedae 도 등록이 불가합니다.

    물론,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하지만 큰 의미는 없습니다. Standard Character mark는 글자의 모양이 아닌 실제 해당 문자에 대한 권리를 취득합니다. 다시 말해, 이후 Zahyoo-Zeedae 를 어떠한 글자체나 디자인을 이용하여 표현하든 상관이 없습니다.

    Standard Characters 를 선택하셨다면, 아래의 Special Form 부분은 통째로 건너뛰시고 바로 Additional Statements 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Special Form

    한글을 사용하고 싶으시면 special form을 선택하시고 “자유지대”가 들어간 이미지를 JPG 포맷으로 업로드 하시면 됩니다.

    업로드 가능한 이미지 파일 규격은 해상도는 300 에서 350 DPI 사이, 크기는 가로 및 세로가 250 에서 944 픽셀 사이입니다.

    물론 현재 이미 사용하고 있는 로고 이미지가 있으시면 그대로 사용하셔도 좋고, 없으면 만드실 때 조금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시기 바랍니다. 이 이미지 그대로 실제 상품에 적용하셔야 하고, 이미지의 조금이라도 변경되면 신규등록이 필요합니다.

    Literal Element

    업로드한 이미지에 그림이나 장식이 아닌 문자가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문자를 위의 빈칸에 입력하셔야 합니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문자는 특수기호, 숫자를 포함한 영문자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한글은 미국 소비자의 시각으로 봤을 때는 그냥 그림과 다름 없으므로 위의 빈칸은 그대로 비워두시면 됩니다.

    Color Claim

    흑백 로고일 경우에는 아무 문제가 없겠지만, 로고 이미지에 색상을 넣으신 경우에는 이 색상이 상표의 일부가 됩니다. 최근에는 컬러 마케팅이 점차 일반화 되면서, 색상이 로고의 일부가 되는 경우가 많지만, 흑백으로 등록한 후 색상을 입혀 사용해도 문제가 없으므로 Color Claim 은 비워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 색상을 상표의 일부로 하지 않으실 경우에는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셔서 업로드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컬러 이미지를 제출하실 경우, 이미지에 나타난 모든 색상을 위의 빈칸에 입력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디자인의 일부에 다양한 색상을 입혀 사용하실 계획이라면, 그 부분은 아예 색을 입히지 않고 진행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참고로, 배경이 로고의 일부라면 배경색도 입력하셔야 합니다.

    Description of Mark

    다음으로 상표에 대한 상세설명입니다.

    이곳에는 그림이나 도안에 대한 설명 및 색상의 위치를 쓰시면 됩니다. 여기서 영어에 약한 분들이 조금 난감하실 수 있는데, 최대한 자세하고 정확하게 쓰는 수 밖에 없겠죠.

    예를 들어, 한글이 있으면 non-Latin characters 라고 지칭하시고, 다른 영단어나 문구, 디자인, 문양 등은 적절한 이름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미특허청에서 제공하는 예제 중 하나입니다.

    Design comprising a red background; the stylized word 'HOSPITAL' in white with the letter 'S' in the form of a dollar sign and letter 'L' in the form of a cast; a man with red hair in a green gown with an orange and silver stethoscope and silver headband mirror; man wearing a blue cap, gown and mask with silver scissors; silver medical tree with white, pink, and gold intravenous pouch, fluid and tube; gray and gold crutch; nurse with yellow hair wearing pink clothing and brown clip board; orange and black scale with an orange man wearing purple pants and orange robe; nurse with yellow hair and white clothing pushing a wheelchair with a man in green clothing with white cast and gold cane; white and blue bed pan; yellow and black buildings and white signs with stylized words 'EMERGENCY HOSPITAL' in black, and green vegetation; white and pink emergency vehicle with purple tires; a green air tank, orange stretcher, green golf club bag with white balls and pink clubs; nurse with yellow hair and blue clothing holding a white syringe with pink fluid; and an orange man dressed in blue with a white and red thermometer.

    The mark consists of a red background; the stylized word “HOSPITAL” in white letters outlined in black with the letter “S” in the form of a dollar sign and letter “L” in the form of a cast; a man with red hair in a green gown with an orange and silver stethoscope and silver headband mirror; man wearing a blue cap, gown and mask with silver scissors; silver medical tree with white, pink, and gold intravenous pouch, fluid and tube; gray and gold crutch; nurse with yellow hair wearing pink clothing and brown clip board; orange and black scale with an orange man wearing purple pants and orange robe; nurse with yellow hair and white clothing pushing a wheelchair with a man in green clothing with white cast and gold cane; white and blue bed pan; yellow and black buildings and white signs with stylized words “EMERGENCY HOSPITAL” in black, and green vegetation; white and pink emergency vehicle with purple tires; a green air tank, orange stretcher, green golf club bag with white balls and pink clubs; nurse with yellow hair and blue clothing holding a white syringe with pink fluid; and an orange man dressed in blue with a white and red thermometer.

    예제를 살펴보시면 색상에 대한 언급이 보입니다. 일단 이미지에 색상이 있으면 상세설명에 모두 언급되어야 합니다.

    Additional Statements

    한국에서 미국 상표를 등록하시는 분들은 이 부분을 그냥 넘어가시면 안됩니다.

    디자인 요소로 한글이 있거나, 한국어를 그대로 영문으로 표시한 단어가 있으면 반드시 위의 체크박스를 클릭하셔야 합니다.

    Translation

    예를 들어, standard characters (문구)나 이미지에 Zahyoo-Zeedae 가 들어가 있으면

    The English translation of Zahyoo-Zeedae in the mark is Free Zone.

    이런식으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Transliteration

    만약 한글로 영단어가 적힌 경우가 있을 수 있죠. 예를 들어 로고 이미지에 “자유지대” 라는 문구가 있으면

    이렇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문구에 별다른 의미가 없는 경우 아래 칸 이용하셔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Transliteration 이란 결국 영어 사용자가 읽을 수는 없지만 문자인 경우, 그에 대한 해석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Free Zone 이라는 브랜드가 미국에 이미 있다면 Zahyoo-Zeedae는 한글을 읽을 수 있는 미국내 소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겠죠. 따라서 경우에 따라 등록이 거절 될 수 있습니다.

  • (OLD) TEAS 화면 2: 출원인 정보

    (OLD) TEAS 화면 2: 출원인 정보

    2025년부터 USPTO의 새로운 전자출원시스템인 Trademark Center의 사용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미특허청 상표전자출원 양식 (TEAS Plus) 2번째 페이지에서는 출원인의 정보를 기입하게 됩니다. 출원인은 양식을 기입하는 사람이 아니고, 상표를 소유하고 있는 법인 혹은 개인 사업자를 말합니다.

    빨간* 표시 되어 있는 부분은 필수 기재정보라 비워 놓으면 넘어 갈 수 없습니다. 그럼 좀 더 자세히 알아 볼까요?

    Owner of Mark

    여기에는 사업자명을 적으시면 됩니다. 개인 사업자이시면 성함을 적어주시면 되는데 성, 이름 (e.g. Kim, Minsu) 의 순서로 적으시면 됩니다.

    밑의 DBA, AKA 등은 미국 사업체의 경우 정부에 등록된 이름과 실제 사용하는 회사 이름이 다른 경우가 있어서 있는 란인데, 한국의 경우 그런 경우가 없죠. 따라서, 실제 본명이나 등록된 사업자명을 적으시면 됩니다.

    Entity Type

    개인이면 individual 선택하시고, 바로 옆에 나타나는 메뉴를 이용하여 국적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사업체(법인)일 경우에는 법인의 종류를 선택하고 설립등기가 된 국가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 설립된 주식회사는 corporation 선택하시고 아래와 같이 non-U.S. corporation 중 Korea, South 선택하시면 됩니다.

    Street Address

    다음으로 주소란 입니다. 여기서 주소는 우편물을 수령할 주소가 아닌 사업자등록지 혹은 개인이라면 주민등록지를 적으시면 됩니다.

    참고로, 바로 위의 internal address 는 무시하셔도 좋고, 바로 아래에 도시명을 쓰시는 칸이 따로 있으므로 그보다 작은 단위의 주소 전부를 입력하시면 되겠습니다.

    작은 단위부터 쓰시면 됩니다. 한국 주소 예: 13-1007 Geuma Apt. Daechi-dong, Gangnam-gu (강남구 대치동 금마아파트 13동 1007호)

    한국의 경우 시보다 큰 단위를 입력할 곳이 없습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이곳에 도시명 외에 전부 입력해야 할텐데 이 주소칸에는 40자 이상 적을 수 없으니 주의하세요.

    City

    도시명을 입력합니다. 혹 주소칸이 부족하면 이곳에 나머지 주소를 적으셔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여기에 광주만 입력하면 경기도 광주시인지 광주광역시인지 모를 수도 있겠죠. Gwangju-si, Gyeonggi-do 라고 적어주시면 되겠습니다.

    State

    주를 입력합니다. 한국 주소의 경우 비워둡니다.

    Country or U.S. Territory

    국가명을 입력합니다.

    Zip/Postal Code

    우편번호를 입력합니다.

    나머지 전화번호 및 웹사이트 주소는 비워두셔도 좋습니다. 다만, 비워둔채로 누르시면 아래와 같은 경고문이 나옵니다.

    서류 심사 중에 문제가 생기면 공식 거절통지문을 발송하기 전에 간단히 해결하기 위해 전화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러한 경우에 전화번호가 안 적혀 있으면 불이익을 당할 수가 있겠죠. 가급적 전화 번호를 제공하라는 취지의 경고문인데, 어차피 국제전화를 걸지는 않겠죠. 그냥 무시하시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상기 정보는 대중에 공개되는 관계로 사생활 보호를 위해 별도의 mailing address 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Domicile Address 관련 글 참고 바랍니다.

  • (OLD) TEAS 화면 1: 기본 정보

    (OLD) TEAS 화면 1: 기본 정보

    2025년부터 USPTO의 새로운 전자출원시스템인 Trademark Center의 사용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특허청의 상표전자출원 (TEAS) 양식첫 페이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러가지 주의사항이 있고, 가장 아래에 보면 두가지 질문이 있죠.

    1. Is an attorney filing this application?

    양식을 제출하는 사람이 변호사인지 묻고 있습니다. 자동으로 Yes가 선택되어 있으므로 No로 바꾸어 주셔야 합니다. 특별한 불이익은 없으니 안심하셔도 좋습니다.

    단, 미국내에 주소가 없으신 사업자/개인의 경우에는 미국내 현지 변호사를 고용하는 것이 의무화 되었습니다. 관련 글 참조

    2. [OPTIONAL]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양식을 불러올 것인지 물어보고 있습니다. 혹시 양식을 기입하셨는데 막상 제출하려고 보니, 확인해야 할 것이 있다던가 비용을 결제할 준비가 안되어 있거나 할 수 있겠죠. 그럴 때는 양식의 마지막 단계에서 기입된 양식을 저장할 수 있고, 바로 이곳에서 저장된 파일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처음 하신다면 1번 질문은 “No” 선택하시고 2번 질문은 건드리지 않고 다음으로 이동합니다.

    맨 아래의 버튼을 누르면 입력 내용이 저장되고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참고로, TEAS 작성 시 웹브라우져의 “뒤로가기”나 “새로고침” 버튼은 사용하시면 안됩니다.